프로그램
부석사 명무전(名舞展) <기특기특> 부석사13:00 ~18:00
“부석사의 가치를 담은 이동형 공연”
회차 | 날짜 | 시간 | 장소 |
---|---|---|---|
1회차 | 22.09.10 | 13:00 ~18:00 |
부석사 |
2회차 | 22.09.11 | 13:00 ~18:00 |
부석사 |
소개
일정
9월 10일(토), 11일(일)•총 9회•13:00~17:00
13:00, 13:30, 14:00, 14:30, 15:00, 15:30,16:00, 16:30, 17:00
※1시부터 부석사 일주문 제1장소 앞에서 시작하여 제11장소 무량수전까지 이동 공연 (약 50~60분 소요)
기특 (奇特)
부처님이 세상에 오신 일을 가리키는 말로 측은지심을 가지고 천상에서
인간으로 내려와 인류 구원을 한 사건을 말함
안은미 컴퍼니는 2022년 9월 영주 부석사에서 부석사에 깃든 무궁한 이야기를 <기특기특>이라는 주제의 장소 특정적 공연으로 선보인다.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년)에 지어졌다.
오랜 역사를 가진 부석사가 가진 각각의 장소마다 지닌 의미를 공연 형식으로 풀어낸다.
<기특기특>은 부석사 건축이 가진 깊은 의미를 연구하며 역사적 이미지를 향유할 수 있는 현장 공연 형식이다.
일주문에서 시작되는 공연은 1시간 동안 장소를 이동하며 진행된다.
공연은 일주문에서 시작해 길목을 거쳐 마지막 장소인 무량수전 앞 안양루로 이어진다.
길을 따라 걷는 관람객은 지나가는 매 걸음의 장소에서 부석사의 자연과 역사를 상상할 수 있는 현장을 목격하게 된다.
무량수전 마당까지 도착하면 마치 천상에 다다라 깨달음의 경지에 입문하는 수행자로서의 마지막 공연을 마주하게 된다.
부석사[浮石寺]의 부석은 ‘떠있는 돌’이라는 의미다.
이러한 의미를 반영하듯 조각가 이태수의 돌 전시는 이 공연의 현장성을 입체적으로 부각시킨다.
제1장소 일주문
<경계 없는 일심(一心)>
모든 중생이 세속의 번뇌를 내려놓고 깨달음의 경지로 나아가는 시작 - 문이 없는 문
제2장소 길목1
<새로운 발견>
‘부석(浮石)’은 공중에 떠 있는 바위라는 뜻이다. 의상대사를 흠모한 여인 선묘가 커다란 바위용으로 변해 도적 무리를 쫓아 내고 이곳 부석사를 지을 수 있게 했다. 여기야말로 땅이 신령하고 산이 수려하니 참된 법륜을 돌릴 만한 곳이다.
전시 1
길목의 수많은 바위 위에 이태수 작가의 설치미술
제3장소 길목2
<용의 춤>
선묘가 맹세하기를 ‘이 몸이 큰 용으로 바뀌어 저 배의 선체와 노를 지키는 날개가 되어 무사히 본국에 돌아가 법을 전할 수 있게 하리라.’ 하였다. 그리고 웃옷을 벗어 던지고 바다에 뛰어들었다.
제4장소 중수기적비(浮石寺 重修記蹟碑)
<극락으로 가는 배>
극락은 일체의 고통이 없고 자유롭고 안락함이 가득하여 모든 중생이 왕생하기를 소망하는 이상향이다.
전시2
<의상조사 화엄경의 깨달음, 법성게法性偈>
의상대사가 ‘화엄경’의 핵심 사상을 간추려 210글자로 표현한 법성게, 모든 것은 미로처럼 돌고 돌아 결국 다시 그 자리로 돌아온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가는 길목마다 화엄경의 핵심사상을 요약한 7언 30구(210字)의 게송(偈頌)을 설치물로 전시
제5장소 당간지주
<새 소식을 알리며>
절에 행사가 있을 때 절의 입구에는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둔다. 이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며, 장대를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중생들을 위한 바램을 바람을 불러 빌어본다.
전시3
108개의 번뇌의 정원을 지나 좋고(好)·나쁘고(惡)·평등하고(平等)·괴롭고(苦)·즐겁고(樂)·버리는(捨) 여섯 가지 감정의 부딪힘을 씻어낸다.
제6장소 천왕문
<수호신 4대천왕>
불법을 수호하는 동방지국천왕, 남방중장천왕, 서방광목천왕, 북방다문천왕을 만나다.
제7장소 회전문 앞 계단
<윤회전생>
‘윤회’란 수레바퀴가 끊임없이 구르듯, 중생이 번뇌와 업 때문에 생사세계를 멈추지 않고 돌고 도는 것을 뜻한다. 윤회의 흐름은 일정한 깨달음의 경지에 도달할 때까지 몇 겁, 또는 몇 억 겁 세월에 걸쳐 계속된다.
제8장소 회전문
<가파른 고행>
높은 석단이 모습을 드러내고, 그 위에 새로 지은 전각이 눈에 띄는데 바로 회전문이다. 삶의 무게를 알려주듯 한걸음 한걸음
중생의 걸음을 재촉한다. 그 고행의 끝자락을 마주한다.
제9장소 범종루 앞마당
<봉황이 날다>
과거에 범종을 포함한 불전사물을 매달았던 이력이 있는 곳으로 범종루라고 한다. 극락왕생을 향하여 가는 중생들을 천도하는 춤을 추며 마지막 계단의 어두운 면을 밝힌다.
제10장소 안양루 앞마당
<부석(浮石)을 다시 만나다>
무량수전 뒤에는 ‘부석(浮石)’이라고 새겨져 있는 바위가 있다. 『송고승전』에 있는 설화를 보면, 의상대사가 당나라에서 유학을 마치고 귀국할 때 그를 흠모한 여인 선묘가 용으로 변해 이곳까지 따라와서 줄곧 의상대사를 보호해 절을 지을 수 있게 도왔다고 한다. 이곳에 숨어 있던 도적떼를 선묘가 바위로 변해 날려 물리친 후 무량수전 뒤에 내려앉았다고 전한다.
전시4
이태수 작가의 부석 돌 조각 설치미술
제11장소 안양루
<극락정토 무량수전을 만나다>
9개의 석축과 108개의 번뇌 망상을 통과해서 만나게 된 극락 무량수전 앞에는 이태수 작가의 부석(浮石) 작품과 다시 한 번 만나게 된다.
그리고 마침내, 무량수전과 마주보고 있는 안양루 안에서, 석등 4면의 보살상과 석등 하단의 연꽃무늬에서 영감을 받은 연꽃을 머리에 이게 된다. 불교의 핵심 교리인 무상·고·무아를 깨닫는 첫걸음이 色, 그 중에서도 ‘나의 몸’이라고 여겨지는 육신에 대한 집착을 버리는 것. 이 광명을 향한 춤이 펼쳐진다.
9월 10일(토), 11일(일)•총 9회•13:00~17:00
13:00, 13:30, 14:00, 14:30, 15:00, 15:30,16:00, 16:30, 17:00
※1시부터 부석사 일주문 제1장소 앞에서 시작하여 제11장소 무량수전까지 이동 공연 (약 50~60분 소요)
기특 (奇特)
부처님이 세상에 오신 일을 가리키는 말로 측은지심을 가지고 천상에서
인간으로 내려와 인류 구원을 한 사건을 말함
안은미 컴퍼니는 2022년 9월 영주 부석사에서 부석사에 깃든 무궁한 이야기를 <기특기특>이라는 주제의 장소 특정적 공연으로 선보인다.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년)에 지어졌다.
오랜 역사를 가진 부석사가 가진 각각의 장소마다 지닌 의미를 공연 형식으로 풀어낸다.
<기특기특>은 부석사 건축이 가진 깊은 의미를 연구하며 역사적 이미지를 향유할 수 있는 현장 공연 형식이다.
일주문에서 시작되는 공연은 1시간 동안 장소를 이동하며 진행된다.
공연은 일주문에서 시작해 길목을 거쳐 마지막 장소인 무량수전 앞 안양루로 이어진다.
길을 따라 걷는 관람객은 지나가는 매 걸음의 장소에서 부석사의 자연과 역사를 상상할 수 있는 현장을 목격하게 된다.
무량수전 마당까지 도착하면 마치 천상에 다다라 깨달음의 경지에 입문하는 수행자로서의 마지막 공연을 마주하게 된다.
부석사[浮石寺]의 부석은 ‘떠있는 돌’이라는 의미다.
이러한 의미를 반영하듯 조각가 이태수의 돌 전시는 이 공연의 현장성을 입체적으로 부각시킨다.
제1장소 일주문
<경계 없는 일심(一心)>
모든 중생이 세속의 번뇌를 내려놓고 깨달음의 경지로 나아가는 시작 - 문이 없는 문
제2장소 길목1
<새로운 발견>
‘부석(浮石)’은 공중에 떠 있는 바위라는 뜻이다. 의상대사를 흠모한 여인 선묘가 커다란 바위용으로 변해 도적 무리를 쫓아 내고 이곳 부석사를 지을 수 있게 했다. 여기야말로 땅이 신령하고 산이 수려하니 참된 법륜을 돌릴 만한 곳이다.
전시 1
길목의 수많은 바위 위에 이태수 작가의 설치미술
제3장소 길목2
<용의 춤>
선묘가 맹세하기를 ‘이 몸이 큰 용으로 바뀌어 저 배의 선체와 노를 지키는 날개가 되어 무사히 본국에 돌아가 법을 전할 수 있게 하리라.’ 하였다. 그리고 웃옷을 벗어 던지고 바다에 뛰어들었다.
제4장소 중수기적비(浮石寺 重修記蹟碑)
<극락으로 가는 배>
극락은 일체의 고통이 없고 자유롭고 안락함이 가득하여 모든 중생이 왕생하기를 소망하는 이상향이다.
전시2
<의상조사 화엄경의 깨달음, 법성게法性偈>
의상대사가 ‘화엄경’의 핵심 사상을 간추려 210글자로 표현한 법성게, 모든 것은 미로처럼 돌고 돌아 결국 다시 그 자리로 돌아온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가는 길목마다 화엄경의 핵심사상을 요약한 7언 30구(210字)의 게송(偈頌)을 설치물로 전시
제5장소 당간지주
<새 소식을 알리며>
절에 행사가 있을 때 절의 입구에는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둔다. 이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며, 장대를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중생들을 위한 바램을 바람을 불러 빌어본다.
전시3
108개의 번뇌의 정원을 지나 좋고(好)·나쁘고(惡)·평등하고(平等)·괴롭고(苦)·즐겁고(樂)·버리는(捨) 여섯 가지 감정의 부딪힘을 씻어낸다.
제6장소 천왕문
<수호신 4대천왕>
불법을 수호하는 동방지국천왕, 남방중장천왕, 서방광목천왕, 북방다문천왕을 만나다.
제7장소 회전문 앞 계단
<윤회전생>
‘윤회’란 수레바퀴가 끊임없이 구르듯, 중생이 번뇌와 업 때문에 생사세계를 멈추지 않고 돌고 도는 것을 뜻한다. 윤회의 흐름은 일정한 깨달음의 경지에 도달할 때까지 몇 겁, 또는 몇 억 겁 세월에 걸쳐 계속된다.
제8장소 회전문
<가파른 고행>
높은 석단이 모습을 드러내고, 그 위에 새로 지은 전각이 눈에 띄는데 바로 회전문이다. 삶의 무게를 알려주듯 한걸음 한걸음
중생의 걸음을 재촉한다. 그 고행의 끝자락을 마주한다.
제9장소 범종루 앞마당
<봉황이 날다>
과거에 범종을 포함한 불전사물을 매달았던 이력이 있는 곳으로 범종루라고 한다. 극락왕생을 향하여 가는 중생들을 천도하는 춤을 추며 마지막 계단의 어두운 면을 밝힌다.
제10장소 안양루 앞마당
<부석(浮石)을 다시 만나다>
무량수전 뒤에는 ‘부석(浮石)’이라고 새겨져 있는 바위가 있다. 『송고승전』에 있는 설화를 보면, 의상대사가 당나라에서 유학을 마치고 귀국할 때 그를 흠모한 여인 선묘가 용으로 변해 이곳까지 따라와서 줄곧 의상대사를 보호해 절을 지을 수 있게 도왔다고 한다. 이곳에 숨어 있던 도적떼를 선묘가 바위로 변해 날려 물리친 후 무량수전 뒤에 내려앉았다고 전한다.
전시4
이태수 작가의 부석 돌 조각 설치미술
제11장소 안양루
<극락정토 무량수전을 만나다>
9개의 석축과 108개의 번뇌 망상을 통과해서 만나게 된 극락 무량수전 앞에는 이태수 작가의 부석(浮石) 작품과 다시 한 번 만나게 된다.
그리고 마침내, 무량수전과 마주보고 있는 안양루 안에서, 석등 4면의 보살상과 석등 하단의 연꽃무늬에서 영감을 받은 연꽃을 머리에 이게 된다. 불교의 핵심 교리인 무상·고·무아를 깨닫는 첫걸음이 色, 그 중에서도 ‘나의 몸’이라고 여겨지는 육신에 대한 집착을 버리는 것. 이 광명을 향한 춤이 펼쳐진다.
협력기관
예술감독 안은미
조각작가 이태수
음악감독 장영규
연희감독 박범태
미술감독 김동희
무대감독 김지명
의상디자인 안은미
소품디자인 안은미 김동영
소품제작 김동영.이화국악사
의상제작 윤관디자인 ,이국실크
기록 및 촬영 이태석
기록사진 옥상훈
컴퍼니 운영총괄 김지명
운영 프로듀서 최주희.한이은
그래픽디자인 조경규
출연
안은미. 김혜경. 한예진. 정다은. 이민주. 김수정. 이유선. 김재은. 천송이. 이승아 , 배효섭. 이동욱. 이재윤. 정의영.
문용식. 박정무. 최수언. 김덕영. 김건엽 조선재. 오푸름. 오현택. 이우빈. 이창민. 서보권. 서일영 외 한 명
라이브 음악
박범태(소리,장구.태평소)
주영호(꽹과리)
나현철(장구)
권우식(장구)
오원석(북)
이소은(북)
박준구(피리)
윤석만(대금)
조각작가 이태수
음악감독 장영규
연희감독 박범태
미술감독 김동희
무대감독 김지명
의상디자인 안은미
소품디자인 안은미 김동영
소품제작 김동영.이화국악사
의상제작 윤관디자인 ,이국실크
기록 및 촬영 이태석
기록사진 옥상훈
컴퍼니 운영총괄 김지명
운영 프로듀서 최주희.한이은
그래픽디자인 조경규
출연
안은미. 김혜경. 한예진. 정다은. 이민주. 김수정. 이유선. 김재은. 천송이. 이승아 , 배효섭. 이동욱. 이재윤. 정의영.
문용식. 박정무. 최수언. 김덕영. 김건엽 조선재. 오푸름. 오현택. 이우빈. 이창민. 서보권. 서일영 외 한 명
라이브 음악
박범태(소리,장구.태평소)
주영호(꽹과리)
나현철(장구)
권우식(장구)
오원석(북)
이소은(북)
박준구(피리)
윤석만(대금)